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엉클빌리 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2018년에 출시된 생존게임 러스트 명령어 등을 어드민과 콘솔을 포함해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도 예전에 많이 즐겼던 게임인데요, 요즘은 친한 사람들끼리 서버를 열어 플레이 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시는 것 같습니다. 기회가 되면 저도 서버를 열어봐야 겠습니다.
우선 간한다게 러서트(RUST)의 최소사양과 권장사양을 알아볼겠습니다. 워낙에 최적화가 거지같은 게임이라 참고정도만 해주시면 될 것 같아요. 가격은 스팀기준(할인X)으로 현재 41,000원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최소사양
-CPU : 2.0GHz 이상
-그래픽 : GTX 670 2GB 또는 AMD R9 280 이상
-램 : 10GB 이상
-20GB 이상의 저장공간
-DirectX11.0 / 윈도우7 64비트
권장사양
-CPU : 3.0GHz 이상
-그래픽 : GTX 980 또는 AMD R9 Fury
-램 : 16GB 이상
-20GB 이상의 저장공간
-DirectX12.0 / 윈도우10 64비트
어드민 명령어
Rcon.login "password" : 입력방법은 게임 접속 후 F1을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서버 관리자 로그인
Status : 서버 내 플레이어 수 확인
Notice.popupall "message" : 서버 내 모든 플레이어에게 공지 및 안내
Find * : 사용 가능한 명령어 목록 확인
Kick "player" : 해당 플레이어를 서버에서 쫓아내기.
Ban "player" : 해당 플레이어를 추방시키고 접속 금지(밴).
Banid "steamid" : 해당 유저의 스팀 계정을 서버에서 추방시키고 접속 금지.
Unbanall : 모든 플레이어들의 밴 해제.
Truth.enforce (true/false) : 이상 행동이 보일 시, 서버가 해당 유저 자동 강퇴(설정/해제).
Save.all : 플레이어의 장비와 월드를 저장.
Teleport.toplayer "ply1" "ply2" : 플레이어1을 플레이어2 에게 순간이동(닉네임이 정확해야됨).
Teleport.topos "ply1" "Pos X" "Pos Y" "Pos Z" : 플레이어1을 해당 좌표로 순간이동(닉네임이 정확해야됨).
Inv.giveplayer "player" "item" "amount" : 해당 플레이어(player)에게 아이템(item)을 양(amount)에 맞춰 주기.
Inv.giveall "item" "amount" : 모든 플레이어(player)에게 아이템(item)을 양(amount)에 맞춰 주기.
Dmg.godmode true/false : 서버 관리자 모드에 로그인(설정/해제).
Crafting.complete : 모든 플레이어들의 현재 진행중인 모든 제작 작업들을 완료.
Crafting.cancel : 모든 플레이어들의 현재 진행중인 모든 제작 작업들을 취소.
Crafting.instant (true/false) : 모든 플레이어들의 제작 작업들을 빠르게(설정/해제)
Crafting.instant_admins (true/false) : 서버 관리자만 제작 작업들을 빠르게(설정/해제)
Crafting.timescale "amount" : 설정한 '양(amout)'만큼 제작 작업 시간을 설정(1=기본, 0.5=반절)
Airdrop.drop : 에어드롭을 시작.
Airdrop.min_players "amount" : 서버 내 플레이어가 '양(amount)'이상 접속중일때만 에어드롭을 시작.
Vehicle.spawn : 현재 위치에 자동차를 소환.
Server.hostname : 서버 이름을 설정.
Server.clienttimeout "time" : 누군가가 시간초과(타임아웃) 할 때 까지의 시간을 설정(기본 2분)
Server.pvp (true/false) : PVP 설정을 ON/OFF (허용/금지)
Server.maxplayers "amount" : 서버 슬롯의 최대치를 설정.
Sleepers.on (true/false) : 게임 종료 시, 플레이어가 잠자기(설정/해제)
Env.timescale "amonunt" : 낮과 밤이 돌아가는 주기 속도를 설정, 기본값("0.0066666667")
Env.time "amount" : 지정된 값으로 하루의 시간을 설정.
Falldamage.enabled (true/false) : 낙하 데미지를 ON/OFF
러스트 명령어 (환경, 단축키, 키타 일반)
1.환경설정(입력방법은 동일하게 F1키를 누른다음 입력)
Terrain Quality 0 : 바닥효과설정
Grass Quality 0 : 잔디, 풀 효과설정
Decor Quality 0 : 꽃, 장식품 효과설정
Effects.maxgibs -1 : -1설정시 오브젝트 파괴시 흔적 안남음
Bind "원하는 단축키" graphics.drawdistance 2500 : 가시거리 최대값 단축키
Bind "원하는 단축키" graphics.drawdistance 500 : 가시거리 최소값 단축키
Fps.limit 60 (144hz모니터일 경우, 60hz모니터이면 수치값 60, -1설정시 제한해제)
Graphics.lodbias 5 : LOD객체 랜더링 거리, 작물 부착물 등등 객체 렌더링
2.단축키
Perf 1 : 1~9까지 옵션있음, 왼쪽하단에 핑, 프레임등등 보여줌
Bind "원하는 단축키" combatlog : 컴뱃로그확인
Bind "원하는 단축키" forward;sprint : 자동달리기
Bind "원하는 단축키" attack : 자동공격
Bind mouse1 +lighttoggle;+attack2 : 부착물 자동활성화
Bind "원하는 단축키" inventory.togglecrafting : 제작화면으로 넘어가기 단축키
Bind "원하는 단축키" craft.add -2072273936 : 붕대제작 단축키
Bind "원하는 단축키" craft.add -97956382 : 도구함제작 단축키
Bind "원하는 단축키" craft.add 15388698 10 : 돌바리게이트 10개 제작 단축키
Bind "원하는 단축키" craft.add "아이템코드" *아이템 코드 사이트는(여기)를 눌러주세요
러스트 명령어 중 아이템 코드는 사이트 이동 후 정렬된 표에서 찾으시면됩니다. 영문 사이트지만 번역기를 이용하면 어느정도 확인이 가능하고 ID 부분을 복사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Bind "원하는 단축키" player.recoilcomp true : 반동 자동회복(M249장거리 1점사 사용시)
Bind "원하는 단축키" player.recoilcomp false : 반동 자동회복 끄기(M249장거리 스프레이샷 사용시)
Connect "서버아이피주소" : 콘솔명령어로 서버접속
-window-mode exclusive : 강제 전체화면
Grass.displace true : 자신 주변 풀 없애기
Physics.steps 60 : 점프 최대치 고정(1~60까지 설정)
3.기타 명령어
Bind "원하는 단축키" gesture victory(gesture shrug, gesture chicken, gesture Hurry, gesture whoa) : 제스쳐 명령어
Bind (your text) noclip.debug : 노클립 온,오프(빌드섭, 어드권한있는서버에서 관통 / 공중부양 활성화)
Ex) 게임내 화면에서 "F1"키를 누르고 콘솔창에 "bind F2 combatlog"를 입력 후 콘솔창화면에서 "F2키"를 누르면 바로 combatlog를 확인할 수 있고, "F2키"를 자신이 원하는 다른 키로 설정할 수도 있다.
Share ID (문공유) / UNShare ID(해제)
Players - 접속자(ID) 확인
*초기화 방법 : 옵션에서 컨트롤 항목 중 마지막 아래 옵션 클릭.
*외 /Help로 명령어 확인 가능.
서버를 운영하거나 플레이시 참고해서 이용하시면 조금 더 수월한 플레이가 가능합니다. 오타나 수정할 부분있으면 댓글 남겨주시면 확인 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모두 건강조심하세요. 감사합니다.